C# + Unity

[C#] 어셈블리에 샌드박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위치에서 어셈블리를 로드하려고 했습니다. 해결하기 포스트 Teaser

[C#] 어셈블리에 샌드박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위치에서 어셈블리를 로드하려고 했습니다. 해결하기

카테고리:

3 분 소요

문제 상황 Assembly.LoadFrom을 사용하여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dll 파일을 읽어들이려고 할 때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며 작동이 중지된다. System.IO.FileLoadException: ‘파일이나 어셈블리 ‘file:///C:\Users\User\Downloads\Example.dll’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작업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예외가 발생한 HRESULT: 0x80131515)’   NotSupportedException: 이전 버전의 .NET Framework에서 어셈블리에 샌드박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위치에서 어셈블리를 로드하려고 했습니다. .NET Framework의 이 릴리스는 기본적으로 C

[C#] DataGridView 속도 개선하기 포스트 Teaser

[C#] DataGridView 속도 개선하기

카테고리:

3 분 소요

문제 상황 처음에는 DataTable.NewRow를 수행하고 DataTable.Rows.Add를 수행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디버깅 결과 DataGridView에 7개 Column과 80만 Row를 가진 DataTable을 바인딩하는 과정에서 굉장히 오랜 시간(5분 이상)이 소요되었다. 문제 확인 문제점을 확인하는데는 그리 오래걸리지 않았다. DataGridView에 설정한 DataGridViewAutoSizeColumnsMode 속성의 AllCells 때문이었다. 이를 None으로 바꾸니 해결되었다. 이후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모두 불러온 후에 AllCells를 지정하여 한번에 수행하도록 변경하였지만 오래걸리는 것은 매한가지 였다. 많은 블로그에서 소개한대로 더블 버퍼링도

[C#] Reflection으로 등록된 이벤트 초기화하기 포스트 Teaser

[C#] Reflection으로 등록된 이벤트 초기화하기

카테고리:

1 분 소요

문제 상황 Visual Studio IDE를 사용하면 Winform 환경에서 이벤트를 손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ad 이벤트를 추가한다고 가정하면 자동으로 아래와 같이 작성된다. Form1.cs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System.EventArgs e) { // Add your form load event handling code here. } Form1.Designer.cs this.Load += new System.EventHandler(this.Form1_Load); 문제는 런타임 도중에 해당 이벤트를 해제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발생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이벤트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C#] C#에서 Visual Basic .NET 함수 호출하기 포스트 Teaser

[C#] C#에서 Visual Basic .NET 함수 호출하기

카테고리:

1 분 소요

Visual Basic .NET 프로젝트 설정 Visual Basic .NET 프로젝트를 C# 프로젝트에 참조 추가하기 솔루션 탐색기에서 C# 프로젝트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고 참조 추가 선택 프로젝트 탭으로 이동하여 Visual Basic .NET 프로젝트를 선택한 뒤 확인 클릭 Visual Basic .NET 함수의 접근 제한자 확인 아래와 같이 Visual Basic .NET 함수가 C#에서 호출되려면 Public Shared 접근 제한자를 가져야 한다. Public Class VbClass Public Shared Function AddNumbers(x As Integer, y As Integer) As Integer Return x + y End Fu

[C#] MMF(Memory-Mapped File)로 IPC(프로세스간 통신, Inter-Process Communication)하기 포스트 Teaser

[C#] MMF(Memory-Mapped File)로 IPC(프로세스간 통신, Inter-Process Communication)하기

카테고리:

7 분 소요

IPC(프로세스간 통신, Inter-Process Communication)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간 통신)는 여러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IPC는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 간에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PC의 주요 기법 1. 파이프 (Pipes) 익명 파이프: 부모-자식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 교환 이름 있는 파이프(Named Pipes): 서로 독립적인 프로세스 간 통신 가능 데이터가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흐름 2. 메시지 큐 (Message Queues) 프로세스 간 메시지를 큐에 넣고

[C#] MemoryCache 클래스로 데이터 캐싱하기 포스트 Teaser

[C#] MemoryCache 클래스로 데이터 캐싱하기

카테고리:

4 분 소요

MemoryCache 클래스 System.Runtime.Caching 네임스페이스의 MemoryCache 클래스는 .NET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내 캐싱 솔루션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준다. 메모리 캐싱에 특화된 만큼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메모리 내 캐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디스크 접근이나 데이터베이스 쿼리보다 훨씬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한다. 정책 기반 관리: 캐시의 항목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효 시간(Expiration) 또는 우선 순위(Priority) 설정이 가능하다. 싱글톤 접근: MemoryCache.Default를 사용하여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동

[C#] Thread abort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오류 해결하기. 포스트 Teaser

[C#] Thread abort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오류 해결하기.

카테고리:

3 분 소요

문제 상황 .NET Core 3.1 버전까지의 C#에서는 Thread를 강제종료할 때 아래와 같이 Abort 함수를 사용한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hread = new Thread(foo) { IsBackground = true }; thread.Start(); Thread.Sleep(5000); thread.Abort(); } static void foo() { int i = 0; while (true) { Console.WriteLine(i); i++; Thread.Sleep(1000); } } 하지만, .NET 5 버전 이

[Unity] can only be called from the main thread. 문제 해결하기 포스트 Teaser

[Unity] can only be called from the main thread. 문제 해결하기

카테고리:

2 분 소요

Unity 엔진의 동작 원리 Unity 엔진은 많은 블로그와 Unity 공식 문서에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Main Thread와 Render Thread, Worker Thread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서 UI 요소를 변경하는 함수들은 메인 스레드 위에서만 작동한다. 이로 인해서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메인 스레드가 아닌 다른 스레드가 UI 요소를 변경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한다. [문제가 된 함수] can only be called from the main thread. [문제가 된 함수]는 메인 스레드에서만 호출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위와 같은 문제를 C#에서는 Invoke를 사용하여 메인 스레드로 호출을 위임하지만, Unity에서는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