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달의 IT 세상

[Ubuntu] System infomation 재출력하기 포스트 Teaser

[Ubuntu] System infomation 재출력하기

카테고리:

최대 1 분 소요

System Information Ubuntu가 설치된 서버에 터미널로 처음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System load, Processes, Usage, Temperature등을 다시 보고 싶을 때가 있는데 이럴 땐 터미널에 재접속하는 것보다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System information을 다시 볼 수 있다. landscape-sysinfo

기억의 역설과 재구성 포스트 Teaser

기억의 역설과 재구성

카테고리:

2 분 소요

기억은 객관적인 사실의 저장소가 아니라, 우리의 경험과 지식,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동적인 과정이다. 기억의 역설 우리의 뇌는 특정한 생각이나 이미지를 떠올리지 말라고 할수록 그 생각이나 이미지가 더 또렷하게 생각난다. 이를 “백곰 효과“라고 한다. 또한, 무엇인가를 금지하면 그것에 대한 욕구가 더욱 강해지는 “금지된 과일 효과“로도 설명 가능하다. 이는 우리의 뇌가 ‘아니오’나 ‘하지 않는다’는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거나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기억의 재구성 기억은 되새길수록 점점 오염되다가 결국엔 망각해버린다. 이는 기억을 되새길 때마다, 우리는 그 기억을 약간씩 변형하거나, 현재의 상황이나 감정, 지식 등에 따라 그 기억을 다르게 해석하기 때문이다. 다른 해석들

썸과 성욕, 리비도 포스트 Teaser

썸과 성욕, 리비도

카테고리:

2 분 소요

썸은 상대방의 마음을 확실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불안감이나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썸 썸을 탄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친구 이상 연인 미만의 관계에 있으며, 양측 모두에게 애정이 있지만 아직 공식적인 연인 관계에 들어선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썸은 대체로 서로의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탐색적인 단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어느 정도 호감을 느끼고 있지만 아직은 정식 연인이 되기 위한 중요한 단계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흥미롭고 설레는 감정을 느끼게 할 수 있지만, 동시에 불확실성과 혼란스러움을 가져온다. 썸과 성욕 성욕의 발생은 복잡한 심리적, 생물학적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일반적으로 불안이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에서는 대개 성욕이 감소한다. 썸을 타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반응이나

[HustOJ] no test data : no *.in file found 해결하기 포스트 Teaser

[HustOJ] no test data : no *.in file found 해결하기

카테고리:

1 분 소요

문제 상황 HustOJ로 구축된 사이트를 운영하다보면 특정 문제에서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며 실행중 에러 AC:0% Flag를 띄운다. no test data : no *.in file found -—time_space_table:—- 점수 : 0.000 문제 해결 해당 문제에 테스트 케이스 데이터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이므로, HustOJ의 설치 경로에 테스트 케이스 데이터를 생성해주면 된다. 보통 HustOJ 설치 폴더는 /home/judge/에 위치한다. 문제가 발생한 폴더로 이동하려면 /home/judge/data/문제가 발생한 번호로 이동한다. 입력이 없는 문제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단순히 파일만 생성해줘도 되지만, 입력과 출력이 정해진 문제의 경우에는 테스트

[C#] Enum을 ComboBox item에 집어넣기 포스트 Teaser

[C#] Enum을 ComboBox item에 집어넣기

카테고리:

최대 1 분 소요

문제 상황 C#으로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Enum을 ComboBox item에 집어넣어야 하는 상황이 가끔 생긴다. Linq를 사용하여 Enum을 Object[]로 만들어서 ComboBox에 넣으면 되는데, 다소 복잡하다. 소스 코드 comboBox1.Items.AddRange(Enum.GetValues(typeof(MyEnum)).OfType<object>().ToArray()); Enum.GetValues만 사용하면 반환 값이 System.Array로 나와 []로 캐스팅 하기 위해서 .OfType<object>().ToArray()를 사용한다.

부정적 사고와 창조적 절망감 포스트 Teaser

부정적 사고와 창조적 절망감

카테고리:

2 분 소요

부정적 사고는 자기자신, 세계,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강화하여 정신 건강을 악화시킨다. 부정적 사고 부정적 사고는 사람이 일상적인 상황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로 부정적인 결과나 결과를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말한다. 주로 실제 상황을 왜곡하여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인지 왜곡‘과 미래의 일에 대해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거나 최악의 결과를 예상하는 ‘미래에 대한 부정적 예측’, 한 번의 실패나 실수를 자신의 전반적인 능력이나 가치에 대한 증거로 보는 ‘과장된 일반화’, 일어나는 모든 부정적인 일을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개인화‘가 나타난다. 창조적 절망감 창조적 절망감(Creative hopelessness)은 현대 심리치료, 특히 Acceptance and Commit

주이상스. 고통과 쾌락 포스트 Teaser

주이상스. 고통과 쾌락

카테고리:

2 분 소요

인간의 욕망은 결코 완전히 충족되지 못하며, 이러한 불완전함이 우리에게 쾌락을 제공한다. 주이상스 주이상스(Jouissance)는 프랑스어로 ‘즐거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정신분석학에서는 조금 더 복잡한 개념을 나타낸다. 자크 라캉이 이 용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주이상스는 ‘금지된 쾌락’이나 ‘고통과 불쾌가 동반된 쾌락’을 의미한다. 주이상스를 느끼는 상황 ‘짝사랑’이라는 예시는 정확하게 주이상스를 설명한다. 짝사랑을 하는 동안, 사람들은 때때로 그 사람에 대한 강한 감정과 고통, 그리고 그에 따른 쾌락을 동시에 느낀다. 이는 또한 주이상스가 불완전한 상황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관계에서는 강한 욕망이 있지만, 그 욕망이 완전히 충족되지 않는다. 열심히 노력하고 투자

[C#, OpenCL] OpenCL로 SHA1 연산하기 포스트 Teaser

[C#, OpenCL] OpenCL로 SHA1 연산하기

카테고리:

9 분 소요

Nuget C#에서 OpenCL을 사용하고자 할 때, 여러 방법이 있지만 보통 Nuget Package에서 Cloo를 추가하여 사용한다. 1. kernelSource 작성 본격적으로 OpenCL을 사용하기 이전에, 아래와 같이 kernelSource를 작성해야한다. 마땅히 참고할 소스코드가 없어, https://en.wikipedia.org/wiki/SHA-1 의 pseudocode를 참조하여 구현하였다. __kernel void sha1(__global const unsigned char* data, int length, __global uint* digest) { int num_blocks = length / 512; uint h0 = 0x67452301; uint h1 =